자세한 컨퍼런스 정보 👉https://www.wanted.co.kr/events/spectrumcon2019
해당 내용은 노션에서도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👉 https://www.notion.so/SPECTRUM-CON-2019-Joy-of-Design-812f22b52e76428fae29c69f9fd1647d
스펙트럼콘 1부 — Overview
00. Opening Speech | 김세훈 CDO
01. 이정영 |라인 UX&Interaction Lead
02. 이지훈 | 마켓컬리 프로덕트 리드
03. 조나단 정 | 쿠팡 Head of UX,전 구글 UX LEAD
+ Career Coaches _ Advance
00. Opening Speech | 김세훈 CDO
Joy of Design
김세훈 님 — 원티드 CDO
Opening Speech
Introduction & Agenda
Introduction & Agenda
Spectrum Con : Wanted x Design Spectrum- Joy of Design
- 이번 컨퍼런스 주제는 ‘ Joy of Design’ — 문제를 올바르게 해결했을 때, 디자인을 하는 기쁨을 공유하는 자리
- 매일 사용하면서 무심코 지나쳐 왔던 디자인에 대해 말하고자 주최
디자이너의 역할이 확장되고 있다.
- Practical Studies, Duotone 등의 회사와 스터디를 진행중
- 오늘 이야기 하고자 하는 디자인은 ‘디자인’ 하면 떠오르는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다름→ 일상 경험속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.
- 이전에는 제품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한정 되어 있었다면, 서비스 기획과 데이터, 개발을 이해하고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 +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함께 갖추어야 함
- 어떤 문제를 창의적, 체계적,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비즈니스 임팩트를 주는 역할까지 확장되었음.
일본 국민 메신저 라인, 한국에서 디자인하기
이정영 디자이너님 — 라인 UX & Interaction Lead
TED 영상 ‘stefan sagmeister 의 The power of time off’과거 TED 영상을 보고 10년차 디자이너가 되었을 때 나는 어떤 사람이 될까?에 대한 고민을 했습니다. 그리고 그 해답을 이번 강연을 통해 답합니다.
LINE DESIGNER : 라인에서 디자이너 역할 확장하기
과거 : 비주얼에 집중된 UI디자이너로 커리어를 시작했지만
현재 : 지금은 저 자신의 디자인 분야를 점점 확장해 나가고 있음.
LINE에서의 프로젝트
1.입사 초반 : 라인스티커즈
- 메인 디자이너로 라인 스티커즈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됨.
- 어려운 컨셉의 서비스 인터렉션에 공을 많이 들여서 프로토 타입을 제작한 프로젝트
- 프레이머를 활용해서 구체화된 프로토타입을 통해 설득을 진행했음.
- 인터렉션 디자인을 잘 활용해서 많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여본 경험을 쌓을 수 있었음.
- 개발자 PM 의사결정자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뿌듯한 프로젝트
2. 중반 :Line Light
- 이후 스틸 위주의 디자인 작업 / Line Light-simple (가벼운 버전)
- 점점 더 인터랙티브한 작업위주로 변화
3. Interaction Design 팀 셋업을 하게 된 프로젝트 : DISCO, CHATROOM EFFECT 등..
담당 디자이너에게 맡겨져 있던 인터랙션 디자인을 라인 전체 프로덕트에 적용을 위해 팀 셋업
DISCO
- ‘UP’이라는 명칭으로 프로토타입 시작(사용자가 좋아하는 주제를 타임라인에 올려주는 서비스
- 처음부터 인터렉션 디자인을 포함하여 많은 디자인 테스트 진행
- 인터랙션을 통해 AI가 글을 골라준다는 느낌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했음 → 모든 인터랙션을 코드로 구현한 AI Emotion States를 만듦.
CHATROOM EFFECT
- 라인 메신저 내에서 특정 키워드, 해당 키워드를 발행하면 보여줌 (ex. 불꽃놀이) 트위터에서 많이 리트윗 됨 (특히 일본에서) 메시지 발송에 200% 증가의 큰 효과를 가지고 옴 → 많은 사용자 유입을 가지고 옴
FACE PLAY
- 영상 통화 중간에 게임을 할 수 있게끔 함 실질적 유저 데이터가 부족해서 fun 검증 불가 → 프로토 타이핑을 통해서 보여줌
T.GO INTERACTION
- 중동에 출시된 티고 앱. 인터랙션을 처음부터 참여
Line camera Design Interation
- OCR을 활용해 문자를 읽는 cam 디자인
- 사진 선택 기능 등의 인터렉션 디자인 진행
4. 개발팀과의 소통
- 인터랙션 가이드라인 stage 1. 구체적인 애니메이션을 전달
- 인터랙션 가이드라인 stage 2. 공통화된 가이드라인과 인터랙션 샘플 네이티브 앱이 존재
- 인터랙션 가이드라인 stage 3. 네이티브 코드 레벨로 만들기
5. UX 디자인팀의 신설 그리고 조인
담당 디자이너에게 맡겨져 있던 UX디자인을 전문화하기 위해 팀 셋업
6. UX 디자이너가 하는 일 (WHAT UX DO)
- UX improvement
- Low-Fidelity Prototyping: 의도적으로 비주얼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낮은 단계로 하는 것
- User Research: 일본에서 주로 진행/정량적인 디자인을 위해 / FGI UT의 형태
- Wireframe
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니..
디자이너는 기존의 UI 디자인의 역할에서, 기획자의 역할, UX 설계, Wireframe, 디자인 검증과 개발자의 역할 : Interaction Guideline, Code Contribution을 포함하며 조금씩 확장하는 중이다.
LINE 글로벌 협업
LINE의 시장은 한국보다 일본에서 더 크며 글로벌하게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.
1. 업무 진행 방식
한국: 라인
코어, 글로벌하게 런칭 되는 공통 서비스들 → 전략적인 것은 한국에서 작업
일본: 라인, 라인 페이, 게임, 가계부, 뮤직, 뉴스, 쇼핑, 스퀘어 등.. 일본 마켓만을 타겟으로 한 부분들을 디자인함
2. Project Members in LINE (LINE 글로벌 협업은 어떻게 이뤄지는가)
- 글로벌하게 일하기 때문에 일본어, 영어, 한국어를 라인을 통해 번역하면서 작업
- 화상회의는 동시통역과 함께 화상회의 진행
- → 라인내에서 모국어+영어 or 일본어가 점점 필수 소양으로 필요한 느낌 (JP Dev 일부 팀은 주간회의를 영어로만 진행중)
- 온라인으로 해결하기 힘든 이슈는 직접 면대면으로 회의하기 위해 신주쿠 라인 오피스로 감.
3. 점점 커져가는 디자인 조직 어떻게 Sync 할까
- 많은 이해관계자의 합의, 세미나, 워크샵 진행
- 한국 90명, 일본 70명의 디자이너가 있는데, 글로벌한 디자이너들 끼리 어떻게 통일성 있게 디자인을 하기위해 워크샵 진행하고, 글로벌 유저 인터뷰를 통해 1년에 1번씩 4개국 간의 차이를 확인함
- 라인 디자인 시스템 : 국가별 여러 디자인 시스템간의 위계 / 상속 관계 정리 필요
4. 라인 디자인 Principle
- We ≠ Users :우리는 사용자가 아닙니다.
- Clear Primary Task :메인 과업은 명확하게 디자인합니다.
- Chat First :라인은 대화를 최우선으로 고려합니다.
- Reliable Design :라인은 신뢰가 가는 디자인을 추구합니다.
- Continuous Experience :연결된 경험을 추구합니다.
- Respect for Legacy :기존 사용성을 존중합니다.
데이터로 의미있는 경험 디자인하기
이지훈 디자이너님 — 마켓컬리 프로덕트 리드
“UX디자이너라는 커리어를 대기업에서 먼저 시작했습니다. Top-Down 형식의 조직이였기 때문에 너무나 힘이 들었습니다. UX를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큰(거시적인) 업무를 할 수 있겠구나 라고 생각했는데 회사는 저의 생각과 너무 달랐습니다. 두번째 중소 기업에서는 큰 성장을 할 수 있었던 기회였습니다. 그리고 지금은 마켓컬리에서 프로덕트 리드로 일하고 있습니다.”
데이터로 의미있는 경험 디자인하기
1. 배경
- 첫 번째 회사 : 대기업 UX 디자이너 (탑다운, 워터풀 프로세스로 일하고 있는 조직)
- 두 번째 회사 : 중소기업 UX 디자이너 (엄청난 성장이 있었지만, 하고싶은 일보다 해야할 일이 더 많았음 > 존중/신뢰같은 인정보다 막연한 기대감과 목표만 나에게 돌아옴)
- 세 번째 회사 : 마켓컬리 (마켓컬리가 중요시하는 Core UX가 필요함)
→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Core UX 디자인 (유통의 경험까지 관리)
2. 최고의 성과를 내는 팀(원)
- 유통 경험: 고객과 약속한 상품이 시간과 장소에 도착하는 것. 고객과 하는 최소한의 약속 → 그러기 위해 물류센터 쪽으로 많이 다녀야 함
- 프로덕트 디비전
- 개인보다 팀 → 최고의 성과를 가져오려면 개인이 아닌 팀
- 개인이 최고의 성과를 내는게 선행되어야 팀이 최고의 성과를 낼 수 있음
- 결론 : joy of design = ownership ( 전문성, 소통, 데이터)
주체적으로 일하는 3가지 방법
1. 직무에 대한 전문성 확보
- UX기획자 :알고리즘, 프로덕트KPI라는 주제로 깊이있는 고민을 하고 있는 직무 -
- Product designer: 백오피스에 대한 설계까지도 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직무
2. 소통의 역량 확보
- 일을 시작하기 전에 팀원과 리드의 합의 → 합의를 본 후 프로젝트 시작
- 그 이후 일정, 피드백, 회고 등 다양한 것들을 모두 설계
3. 데이터를 활용하는 역량 확보
- 문제를 가시화 하고, 서로간의 합의 하에 시작
- 우리가 가져온 경험이 어떤 이펙트가 있었는지 소통, 가시화 → 주체적으로 일할 수 있는 팀, 팀원이 될 수 있음
Product division code 설계 : 많은 고민과 과정들
1. 메인화면 개편 (2019.04)
- 비즈니스 적으로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매우 치열하게 소통했다.
- 메인화면에서 ‘상품상세로 이동하는 비율을 상승해야함’을 목표로 둠 → 200% 상승
- “이상품 어때요?” → 자동화 + 수기 운영 로직 > 자동화
- 상품 추천 등 새로운 경험을 도입할 때 인사이트로 활용
2. 셀프 주문취소 기능 추가 (2019.07)
- 수기 운영 리소스에 대한 확보, 1:1 상담을 통해 오는 요청 줄이기
- 고객이 취소하면 재고가 바로 살아나는 기능 > 재고 효율성 기준에서도 상당히 좋음
- 마켓컬리 취소사유를 입력 > 상품 추가 주문을 위해취소하고 싶다는 것을 깨달음 (데이터 획득)
3. 부정후기 검증
- 좋아요, 싫어요를 선택해달라는 요청이 있었음 → 일단 거절
- 왜 ? > 큐레이션 경험을 선사하는 마켓컬리의 방향성에 “좋아요/싫어요”가 적합한가에 대한 의문 + 부정 후기를 수기로 걸러내는 작업이 생산성 측면에서 낭비다 > 운영조직의 큰 페인 포인트
- 넷플릭스는 좋아요, 오픈마켓은 평점 및 별점,
마켓컬리는 어떤 방식으로 고객한테 상품에 대한 피드백을 받아야지 효과적일까? 방향성에 대한 확신이 들 때까지 호흡이 필요한 상황
- 데이터 농장 팀에게 질문
감정분석을 통해서 부정후기를 추출하는 것은 어떤가요 제대로된 경험을 디자인하기 위해서 데이터, 운영 등 다양한 부서와 이야기함
→ 제대로된 경험들을 순차적, 점진적으로 제공하려다 보니 느려지는 상태
Data driven design
1. 데이터를 뛰어넘는 디자인
- 데이터가 수집이 되는 컨텍스트를 전제로 함 → 지금 있는 컨텍스트를 전제로 올라가는 고객경험이 전제
-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 하되, 컨텍스트 자체를 추월하는 능동적인 디자인을 만들어내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→ 새로운 경험이 도입될 때, 우리가 어떻게 나아가고 어떤 기회영역이 펼쳐졌는지 회고
- 궁극적으로 데이터에 종속되지 않고, 데이터를 뛰어넘는 디자인을 하고자 함.
Business Driven Design
: 수익을 창출하는 디자인이란?
조나단 정 디자이너님 — 쿠팡 Head of UX , 전 구글 UX LEAD
“ 비즈니스와 디자인은 고객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. ”
소개
1. MS UX 디자이너로 업무 시작
- PC안의 기능적인 제품을 만들다보니 막연하고 어려웠음
- 일반적인 타겟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들을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듦
2. 구글로 이직
- 실제 사용에 대입을하며 작업을 할 수 있었음
- google fit 작업 → 모바일과 웨어러블을 이용하는 제품을 만듦
3. 구글 플레이팀으로 옮김
- 구글 플레이 안에는 다양한 서비스(구글 플레이 게임/ 뮤직/무비/북스/뉴스스탠드)가 존재함.
- 다양한 사람들과 일을 할 수 있었음 → 스토리텔링+설득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함
4. 머터리얼 디자인 팀으로 옮김
- 모든 것이 디자인으로 시작해서 디자이너로서 좋은 팀이었다고 생각함
- 작업의 결과물을 타팀과의 협업을 통해서 적용 → 설득력+스토리텔링에 대한 연습을 많이 할 수 있었음
5. 쿠팡으로의 이직 이유
- 전략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디자인 할 수 있지 않을까 : 지금까지 했던 작업은 매출과 직접적 관련, 생각할 필요가 없었음
- 고객과의 접점이 상당히 많아 매력적으로 느껴짐 (쿠팡맨처럼 사람과 사람이 인터랙트할 수 있는 경험)
수익을 창출하는 디자인이란?
Business Driven Design
“디자인이라는 것은 ‘User needs’와 ‘Pain points’를 파악해 고객의 행동과 마음을 Trigger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.”
메뉴판 디자인하기
BAD — 일반적인 미국 딤섬 레스토랑의 메뉴판
- 엑셀같은 표의 형태
- 메뉴를 잘 모르는 사용자는 불편함을 느낌
- 음식의 가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선을 계속해서 움직여야 함
SOSO — 디자이너가 개입한 메뉴판
- 보기가 좋고 가독성이 높음
GOOD — 레스토랑에서 대표딤섬을 강조한 메뉴판
- 비즈니스를 고려하면 밀고 있는 상품을 추천해줘야함 → 제일 좋은 경험을 하게끔 유도 → 다시 돌아오게끔 함
쿠팡에서의 Business Driven Design
1. 리뷰시스템- 상품평 작성시 000원 적립!이라는 문구
- 리뷰의 수가 많아야 구매가 늘어남 → 문구를 통해 리뷰 유도
- → 좋은 UX가 아니다.
- → 신뢰감이 떨어지는 문구 “돈 받고 쓴 리뷰” (단기적으로는 굿 장기적으로는 베드)
2. 로켓와우클럽 (유료서비스)
- 비즈니스디자인이 효과적이기위해서 여러번 노출 시켜줘야 함.
- 19800원 넘지 않으면 추가 구매를 유도하는 디자인을 여러 곳에 넣어 실제 비지니스 목표치를 달성 할 수 있도록 유도
3. 로켓프레시
- 회원만 누릴 수 있는 혜택 강조
- CTA 활용 ‘로켓와우 무료 체험하기’
Buisiness & Design
Buisiness vs Design ( V.S. NO! → 비즈니스와 디자인은 대립 관계가 아님)
Buisiness & Design( AND YES! → 고객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음)
Things to remember
- 비즈니스 드리븐 디자인을 해야할 순간이 온다면 ‘더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책임이 따른다.’
- 고객한테 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음 → 더 큰 책임감을 가지고 전체적인 고객 경험을 고려하고 결정해야 만 장기적으로 비즈니스를 생각할 수 있음
Career Coaches _ Advance
커리어 코치 프로그램은 레쥬메 클리닉 / 포트폴리오 리뷰 / 인터뷰 코칭을 받는 프로그램으로 나만의 커리어패스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. (유료 — 30,000원)
아래의 내용은 UX Consulting에 한 분의 멘토님께 피드백 받았던 경험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모든 트랙을 대표하는 내용은 아님을 미리 밝힙니다.
3 Track / 9 Mentors / 36 Mentees
- 멘토 1명당 4명의 멘티가 매칭 (티켓 구매시 선착순으로 신청)
- 4명의 포트폴리오를 한 테이블에서 한 명씩 보면서 리뷰하는 형태
좋았던 점
- 1:4로 진행되어 다른 사람들이 포트폴리오를 보며 좋은 것은 배우고, 아쉬웠던 점은 나도 저렇게 하진 않았는지 배울 수 있다.
- 멘토님의 피드백 뿐만 아니라 같이 보는 다른 사람들의 피드백 까지 같이 받을 수 있었다. (+ 추가로 멘토님의 동료분들의 피드백까지 함께 받음)
- 미리 제출하고, 포트폴리오에 대해 숙지하신 후에 피드백을 받는 형태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었다. (그자리에서 봤다면 보다가 끝났을 것 같음)
- 질문한 부분에 대한 솔직한 피드백이 추후 준비에 도움이 될 것 같다.
- 연차가 많이 쌓이신 시니어 디자이너시다 보니, 이전 직장에서의 경험과 주변 지인들의 정보까지 함께 들을 수 있었다.
아쉬웠던 점
- 시간이 부족했다. 1시간에 4명 피드백(10분x4명) + 렙업하는 시간(15분) 까지 있다보니 세세하게 물어보며 피드백 받기에는 부족했다.
- 인터뷰 코칭에 대한 부분은 크게 기대하진 않았지만, 사실상 포트폴리오 리뷰에 레쥬메를 살짝 얹은 느낌에 가까웠다.
- 장소 안내가 살짝 미흡해 참여하시는 분들이 늦게 도착하시는 경우가 있어 시간이 조금 지연됐다.
- 파일 전달에 미스가 있었던 것인지 포트폴리오 파일이 조금 늦게 된 것 같아 아쉬웠다.
- 커리어 코칭이 4시 쯤 끝났는데, 이미 다음 발표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그에 대한 안내가 없어 아쉬웠다.
결론
⭐️⭐️⭐️⭐️ (4/5)
한 시간동안 1:4 피드백에 30,000원이면 그렇게 저렴한 가격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, 충분한 가치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. 첫 회 진행된 커리어 코칭이라고 생각하면 굉장히 진행도 잘 된 편이고, 멘토님의 피드백도 매우 알찼습니다.
이후에 이 코칭에 참여하시게 된다면,
- 내가 원하는 직무를 하고 계신지
- 내가 원하는 회사에 다녀본 경험이 있거나, 다니고 있는지
를 고려하셔서 신청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:)
정리한 사람들
김유진 — https://www.linkedin.com/in/유진-김-66b764155
문예원 — https://www.linkedin.com/in/lunamoon0829/
정지현 — https://www.linkedin.com/in/jeehyeon-jung-a0405715b/
현내진 — https://www.linkedin.com/in/naezin
여기까지 ‘SPECTRUM CON 2019 : Joy of Design (1) — 라인, 마켓컬리, 쿠팡, 커리어 코칭’ 이었습니다.
-
2부 👉 이어서 보러가기
2019 스펙트럼콘/SPECTRUM CON : Joy of Design (2) - CFC, 텐센트, 프로토파이, 토스
자세한 컨퍼런스 정보 👉https://www.wanted.co.kr/events/spectrumcon2019 해당 내용은 노션에서도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👉 https://www.notion.so/SPECTRUM-CON-2019-Joy-of-Design-812f22b52e76428fae29c6..
whyj.tistory.com
혹시나 틀린 정보가 있거나, 추가적인 정보가 있다면 댓글 또는 아래의 메일로 알려주세요 :)
박수는 저에게 큰 힘이 됩니다! 2번, 3번 많이 많이 쳐주세요!! X)
Mail | newwdeanii@gmail.com